본 글은 Havard University Statistics 110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.
- 마코프 체인은 어떤 상태에서든 유한한 단계를 거쳐 다른 상태로 가는 것이 가능(확률 > 0)할 때, Irreducible이라고 한다. (from anywhere to anywhere)
- 재귀상태(recurrent state)는 어떤 상태에서 시작해서 그 상태로 돌아올 확률이 1인 경우를 말한다.
- 상태의 수가 유한한 irreducible한 마코프 체인은 모든 상태가 재귀적이다.
- irreducible, 모든 상태는 recurrent하다
- reducible하지만, 1-2-3과 4-5-6을 각각 irreducible한 체인으로 볼 수 있다.
- 3에서 6으로 가는 길을 만들게 되면 1-2-3은 일시적이고(transient) 4-5-6은 재귀적(recurrent)하다
- 0이나 3으로 가면 평생 머물게 된다(흡수 상태) 1, 2는 일시적, 0, 3은 재귀적.
- 도박꾼의 파산문제를 마코프 체인 형채로 표현
- 주기적 연쇄
정상분포(Stationarity Distribution)
defn) 확률벡터 s⃗ 는 s⃗Q=s⃗ 를 만족할 때 정상(stationary)인 상태라고 한다.
Thm) irreducible하고 유한한 갯수의 마코프 체인은
- 정상분포가 존재한다.
- 정상분포가 유일하게 존재한다.
- s_i = 1/r_i 만족시키는 r_i가 존재한다.(r_i는 i에서 시작했을 때, i까지 돌아가는데 걸리는 평균 시간)
- 장기적 연쇄가 1/10 이라는 것은 다시 돌아오는데 평균 10단계가 걸린다는 것을 의미한다.
- 주기성이 없는 경우 가정. 만약 Q^m 이 어떤 m에 대해서 모든 원소가 양수인 행렬일 때, n이 무한으로 갈 때,
\[P(X_n=i)\rightarrow s_i\]
확률분포 X에 대한 PMF는 s_i에 수렴한다.
⇔ 모든 확률벡터 t⃗ 에 대하여t⃗ Qn→s⃗ 를 만족한다. (t는 어떠한 확률분포여도 상관없다)
가역 마코프 체인
defn) 전이행렬 Q = (q_ij)를 가지는 마코프 연쇄가 있을 때, 모든 i, j에 대하여 아래 식을 만족하면 가역적( reversible)이라고 한다.
\[ s_iq_{ij} = s_jq_{ji}\]
Thm) s⃗ 에 에 대하여 가역적일 때, s⃗ 는 정상분포를 따른다.
증명)
모든 i, j에 대해
\[ s_iq_{ij} = s_jq_{ji}\]
가 성립할 때,
\[ \sum_{i}^{}s_iq_{ij} = \sum_{i}^{}s_jq_{ji} = s_j\sum_{i}^{}q_{ji} = s_j\]
∵ Q의 한 행의 합은 1이기 때문이다.
\[ \therefore \vec{s}Q = \vec{s}\]
Random Walk on an Undirected
d_i : i의 degree라고 했을 때, (d1 =2, d2 = 2, d3 = 3, d4 =1)
\[ d_iq_{ij} = d_jq_{ji}\]
증명) i와 j가 같지 않을 때, q_ij와 q_ji는 둘다 0이거나 둘다 0이 아니다.
둘다 0인 경우, 등식은 성립
둘다 0이 아닌 경우, 모서리 {i, j}가 존재할 때, \[ q_{ij} = \frac{1}{d_i}\]
위 식에 의해 양변이 1이되어 등식이 성립한다.
1, 2, ..., M의 꼭짓점들과 degree di가 있을 때, \[\vec{s} = \frac{d_i}{\sum_{j}d_j}\]
위 식의 s⃗ 에 는 stationary하다.
출처: https://www.edwith.org/ai152
'Study > 통계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4. A Look Ahead (0) | 2022.03.14 |
---|---|
33. 마코프 체인_3(Markov Chains Continued Further) (0) | 2022.03.13 |
31. 마코프 체인(Markov Chains) (0) | 2022.03.12 |
30. 카이제곱분포, t분포, 다변량정규분포(Chi-Square, Student-t, Multivariate Normal) (0) | 2022.03.09 |
29. 큰 수의 법칙과 중심극한정리(Law of Large Numbers and Central Limit Theorem) (0) | 2022.03.09 |
댓글